DBMS 기본 - 2. 역사
데이터베이스 역시 전쟁으로 인해 발전이 되었다.
1950년 군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데이터의 기지라는 뜻으로 데이터베이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후 Oracle에서 RDB를 최초로 출시를 하였다. 그리고 OODB (객체지향)의 개념까지 흡수를 하였다.
2000년도에 구글의 BigTable이 출시가 되었으며 2010년 SNS회사들의 NoSQL을 도입을 하게 되었고
BigData가 이슈화 되면서 NoSQL은 춘추전국 시대가 되었다.
오라클의 가격은 높으나 그만큼의 성능과 효율성을 제공하기에 많은 기업들은 오라클 DBMS를 사용한다
때문에 앞으로 작성될 SQL이나 설명들도 들도 가급적 표준형으로 작성을 하겠지만,
오라클에 조금 더 가중치를 둘 수 밖에는 없다
1950년 : 군사비용을 집중적,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데이터의 기지 뜻에서 데이터베이스로 명명
1968년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IMS DB를 IBM 발표
1970년 : 관계형 모델기반 데이터베이스 RDB 발표. 에드거F 커드 박사
1978년 : 오라클 RDBMS V1.0 출시
1985년 : 객체지향 데이터 베이스 OODB
1997년 : RDBMS의 확장 (RDB + OODB) = ORDB
2000년 : NoSQL 등장 Google BigTable 2004년 확장
2010년 : SNS회사들의 NoSQL도입 (페이스북, 트위터)
2020년 : NoSQL의 춘추전국시대 (Key/Value 구조, Column Family, Graph DB), RDBMS 영역은 확고
주요 DBMS 시장 점유율
구분 | DBMS | 연도별 순위 |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
RDBMS | Oracle | 1 | 1 | 1 | 1 | 1 | 1 | 1 | 1 | 1 |
RDBMS | MySQL | 2 | 2 | 2 | 2 | 2 | 2 | 2 | 2 | 2 |
RDBMS | Microsoft SQL Server | 3 | 3 | 3 | 3 | 3 | 3 | 3 | 3 | 3 |
RDBMS | PostgreSQL | 4 | 4 | 4 | 4 | 4 | 4 | 4 | 4 | 5 |
문서 저장소 | MongoDB | 5 | 5 | 5 | 5 | 5 | 5 | 5 | 5 | 4 |
키-값 저장소 | Redis | 6 | 6 | 7 | 7 | 8 | 7 | 9 | 9 | 10 |
RDBMS | IBM DB2 | 7 | 7 | 6 | 6 | 6 | 6 | 6 | 6 | 6 |
검색엔진 | Elasticsearch | 8 | 8 | 8 | 8 | 7 | 8 | 10 | - | - |
RDBMS | Microsoft Access | 9 | 9 | 10 | 10 | 9 | 9 | 7 | 8 | 7 |
RDBMS | SQLite | 10 | 10 | 9 | 9 | 11 | 11 | 11 | 10 | 9 |
RDBMS | Snowflake | 11 | 17 | 37 | - | - | - | - | - | - |
와이드컬럼 저장소 | Cassandra | 12 | 11 | 11 | 11 | 10 | 10 | 8 | 7 | 8 |
RDBMS | MariaDB | 13 | 12 | 12 | 12 | 13 | 14 | 18 | - | - |
검색엔진 | Splunk | 14 | 13 | 13 | 13 | 12 | 13 | 16 | - | - |
Multi-model | Amazon DynamoDB | 15 | 16 | 17 | 16 | 19 | 21 | - | - | - |
Multi-model | Microsoft Azure SQL Database | 16 | 14 | 16 | 17 | 25 | - | - | - | - |
RDBMS | Hive | 17 | 15 | 14 | 15 | 14 | 16 | 19 | - | - |